Impermanence

BHAK 큐레이터 임소희, 2022

《Impermanence》 전시 작가 보킴(Bo Kim, 김보경)의 작업 세계는 자연의 질서와 불교가 공유하는 ‘Impermanence 비 영속성’ 개념에서 깨달은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과정이자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비 영속성의 개념이 작업의 주제가 된 배경에는, 캔버스에 칠한 안료가 예기치 못하게 표면에서 떨어져 나간 상황을 그대로 작품화한 사건이 작가가 평소에 사유했던 불교의 비 영속성 개념에 부합하면서부터 시작된다. 

보킴은 변화하는 존재로 이루어진 무언가의 이미지를 자연에서 취하여 작품의 조형 언어로 활용한다. 초기작 Impermanence 은 캔버스에 덧댄 방충망에 모래와 석고가루, 유화와 아크릴 등을 섞어 펴바르고 방충망을 떼어내는 과정에서 캔버스에 남거나 떨어져 나간 작품의 불완전한 상태를 비 영속성의 아름다움으로 정의하는 작품이다. 마찬가지로 BHAK에서 선보인 《아로새기다》의 작품에서도 자연 요소가 드러난다. 이 시기의 작품에는 기존의 Imperfection의 작품 주제는 유지하되 방충망 대신 한지와 물감, 모래를 캔버스에 겹겹이 쌓는 행위가 첨가된다. 여기에 작가는 작품 표면에 남겨진 재료의 잔해들을 한지로 감싸 보존하여, 비 영속성의 미학 정신을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자연에 투여하였다. 

그러나 보킴은 비영구적인 무언가를 영구적인 형태로 제작하는 창작 과정에서, 작품의 주제와 형식 사이의 상충 관계에 대한 모순점을 발견한다. 이러한 이해 충돌은 작가와 우리의 의식 세계에서 비 영속성적인 태도를 지닌 삶이 실천 가능한지에 대한 물음으로 이어진다. 통제력을 벗어난 그대로의 실상과 변화하는 자신의 몸과 마음, 소유할 수밖에 없는 현실의 세계에서, 영원한 것에 대한 집착을 정말 버릴 수 있냐는 것이다. 바로 이 대목에서 보킴의 작품은 장르의 변화를 새롭게 맞이하며, 이번 전시에서 기존의 작품과 <빙화 (氷花) > 설치작, 그리고 Passage of time 이란 미디어작을 선보인다. 

보킴의 신작들은 세상의 모든 것이 잠시도 머물러 있지 않고 끊임없이 변화한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우리의 의식은 영원한 무언가를 습관적으로 갈망하고 있다는 지점을 꼬집는다. 전시장 가운데 꽃과 함께 응고된 얼음 조각은 시간과 온도에 의해 액체로 또 기체로 증발하며 외부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얼음의 형태를 보여준다. 전시 중에 작가는 얼음의 상태를 보존하기 위해 냉각 스프레이를 뿌리는 퍼포먼스를 벌이는데, 이는 영원하지 않은 순간을 알면서도 그것을 잡으려는 우리 모습의 메타포이다. 그리고 녹아버린 얼음 조각 아래에 놓인 통에 담긴 한지가 머금고 있는 꽃물의 얼룩과 향기는 우리에게 자연의 이치를 보여줌으로써, 고정 불변한 것이 없다는 사실을 수용할 것을 암묵적으로 요청하고 있다. 

다음으로, Passage of time은 작가의 작업실 창 너머로 보이는 풍경을 실시간으로 전시장에 송출하는 작품으로 작가와 관객이 공유하는 동시간대를 체험하게끔 한다. 하지만 스크린과 관람자 사이에 설치된 불투명한 아크릴판은 시선의 일부를 차단시킨다. 이때 작가, 작품, 그리고 관람자 사이에 형성된 시공간의 거리감은 직선으로 흘러가는 크로노스(Chronos)의 물리적인 시간 속에서, 숫자로 특정될 수 없는 카이로스(Kairos)의 시간을 제공한다. 작가는 전시 이후에도 같은 창 밖의 풍경을 1년 동안 녹화하여, 1년 후에 1년 전의 같은 시간 때에 관람자와 함께 녹화본을 감상하며 찰나와 영겁의 시간을 체험할 예정이다. 

이번 전시에서 소개하는 보킴의 작품에는 변화하는 물질을 관람자가 전시장에서 실시간으로 보고 느끼게끔 하는 연출이 가미되어 비 영속성의 아름다움을 더욱 내밀하고 실감 나게 체험하도록 돕는다. 또한, 인간의 소유욕과 영원성의 갈망에 대한 작가의 적극적인 통찰은 관람객의 공감력을 한층 더 높인다. 보킴의 작품은 그렇게 작가가 창작자이지만 작가만이 작품을 관장하는 주체가 아니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의 작품은 작가와 관람자, 작품과 전시장, 자연과 시간 등, 작품을 구성하는 요소가 어딘가에 예속되지 않고 서로 관계를 맺는 순간을 통해 비 영속성의 아름다움을 자연스레 주도하고 전달한다. 

Bo Kim’s “Impermanence” exhibition shows the process and the result of the artist’s enlightenment from the beauty of “impermanence” found in nature’s order and Buddhism’s teaching. The artist’s study of impermanence began when she noticed some plaster has fallen off from one of her artworks. The naturally fallen bits became part of the artwork as it aligned with the artist’s visualization of impermanence from Buddhism.

Bo collects objects that change throughout time from nature and integrates them into her artwork. The earlier Impermanence series was created by spreading the mixture of sand, plaster, oil paint, and acrylic on canvas and then laying it with a window screen on top. After removing the window screen, there would be fallen pieces of the mixture and the artist kept it the way it was to present the beauty of impermanence. Like so, the “When the Light is Put Away” exhibition also showed paintings sourced from nature. The theme of Imperfection remained, but the window screen was replaced with the artist’s act of layering hanji, paint, and sand on the canvas. She wrapped and kept the remnants of nature with hanji to reflect the aesthetics of ever-changing nature’s impermanence.

However, Bo realized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 message and the form of her work during the process of presenting impermanence in permanent form. The conflict led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 artist herself and the audience can consciously approach life in an impermanent manner. She questioned if it was possible to truly let go of the obsession with permanence in a world where there are uncontrollable phenomena and nature and time cannot be tamed. Inspired by such introspection, the Impermanence exhibition presents installation, Binghwa (氷花), and media work, Passage of time.

Bo's new works point out that our consciousness unconsciously searches for something eternal, even when we know that everything in the world does not stop changing. In the middle of the exhibition space is the installation of Binghwa (氷花), which is an ice sculpture with flowers in it. The artist visualizes the uncontrollable change over time through ice sculpture as it liquefies and evaporates into the air. To preserve the ice in its form as long as possible, she sprays a cooling spray. Such act represents a gesture of longing for eternity even in the notion that nothing lasts forever. As the hanji placed inside the wood trunk-shaped acrylic column seeps in the melted liquid infused with floral aroma, it implies accepting that nothing is everlasting and can be naturally altered by the force of nature.

Passage of Time transmits the scenery seen from the artist’s studio in real-time, allowing the artist and the audience to experience the same time zone. However, the opaque acrylic plate installed between the screen and the viewer partially blocks the viewer's gaze. Here, the quantitative chronos time and the qualitative kairos time are provided through the physical distance formed between the artist, artwork, and the viewer. It will record the scenery for a year and a year from now, the viewers will view the scenery at the exact same time and date. As they view the past, they will experience the idea of moment and eternity.

Bo Kim's presentation of this exhibition invites the viewers to actually see and feel the altering artworks, allowing the audience to experience and appreciate the beauty of impermanence. The artist’s understanding of human possessiveness and longing for eternity amplifies the viewer’s empathy toward the exhibition. Although Bo is the artist, she is not the only one in control of her work. Her work does not project a dichotomy between the artist and viewer, artwork and space, and nature and time, but rather naturally conveys the beauty of impermanence through the moment of connection.

번역 - BHAK 큐레이터 권혜원